전체 글49 맥 OS 새 터미널 안열리는 오류 오류 : 터미널 열시 The terminal process failed to launch starting directory cwd usr/bin does not exist 이러한 문구와 함께 안열림 해결방안 : setting.json 가서 "terminal.integrated.cwd": "${fileDirname", 이부분 지우거나 주석걸어주면 잘열림 2023. 12. 28. Java에서 length와 length()의 차이점 이해하기 Java를 사용하면서 흔히 혼동되는 두 가지 개념이 있습니다 배열의 length 속성과 문자열의 length() 메소드입니다. 이 두 가지는 사용법이 매우 비슷하지만, 서로 다른 타입의 객체에 적용되며 다른 역할을 합니다. 배열의 length 속성 Java에서 배열은 고정된 길이를 가지고 있습니다. 배열의 길이, 즉 배열에 저장된 요소의 수는 배열의 length 속성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. length 속성은 배열이 생성될 때 설정되며, 배열의 생명주기 동안 변하지 않습니다. 예를 들어, int[] numbers = {1, 2, 3, 4, 5}; 라는 배열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. 이 배열의 길이는 numbers.length를 통해 알 수 있으며, 이 경우 5를 반환합니다. int[] numbers =.. 2023. 12. 16. [따라하며 배우는 노드js] 13강 오류 오류의 원인 Mongoose 업데이트 후 발생하는 `findOne()` 메서드 오류 최근 Mongoose 버전에서는 `Model.findOne()` 메서드가 더 이상 콜백 방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 이는 Mongoose가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프로미스(Promises)와 async/await 패턴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. 이로 인해 기존에 콜백을 사용하던 코드는 오류를 발생시키게 됩니다. 발생한 오류 MongooseError: Model.findOne() no longer accepts a callback 해결 방법 1. `findByToken` 메서드 업데이트: `findByToken` 메서드를 프로미스 기반으로 변경합니다. `jwt.verify`는 여전히 콜백을 사용하지만,.. 2023. 11. 24. [따라하며 배우는 노드js] 12강 오류 문제 throw new MongooseError('Model.prototype.save() no longer accepts a callback'); ^ MongooseError: Model.prototype.save() no longer accepts a callback 문제원인 문제의 원인은 여전히 userSchema.methods.generateToken 메서드에서 발생합니다. 이 메서드에서 user.save() 메서드를 콜백과 함께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최신 버전의 Mongoose에서는 save() 메서드가 콜백을 지원하지 않으므로, 이를 async/await 패턴으로 수정해야 합니다. 해결 기존에 강의 코드는 save 를 활용하는데 이게 mongoose 최근버전부터는 비동기로 조져야한다고 한.. 2023. 11. 24. 이전 1 2 3 4 5 6 ··· 13 다음